빨간색 : 내가 모르는 것들이거나 답을 봐도 모르는 것들(깊게 공부안한 부분)
노란색 : 중요한 개념 문제 및 자주 출제되는 개념
회색(분홍(?)) : 코딩 문제
흰색 : 그냥 저냥 하는 문제이거나 정답을 알고 있는 문제
문제 타입
1. 단답 : 개념이나 설명을 읽고, 정답을 쓰는 문제
2. 빈칸 : 문제에 빈칸이 있으며, 빈칸에 들어갈 정답을 쓰는 문제
3. 약술 : 개념이나 정의를 써야하는 문제
4. 코딩 : 코딩 관련된 문제
위 표는 내가 공부하기 위해 만든 표이며, 내 주관적인 생각이 많이 들어간 표이다. 만약, 너무 긴장되서 공부가 안된다면 나처럼 문제의 흐름을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분석 결과(내 주관적인 생각임으로 100% 신뢰하지 마시오!)
1. 노란색으로 된 표는 중요한 개념으로 자주 출제될 수 있는 문제이다. 단, 내가 느낀점은 같은 년도에 문제가 나왔다면, 나머지 시험에서는 안나올 확률이 크다. 대신, 다음 년도에는 나올수 있음. (이부분은 22년 1회차 데이터도 넣어서 분석해보세요. 저는 1회차 시험을 봐서 이부분은 크게 중요하지 않았음)
2. 빨간색으로 된 표는 1번 나온 문제는 앵간하면 다음 회차에서 안나올 수 있음. 왜냐! 너무 깊이 들어간 개념의 문제이면서 그런 것까지 다 외우는 사람은 애초에 분석따위 할 필요가 없음!
3. 회색(분홍)으로 된 표는 코딩 문제로 난 문제 없었다. 여기서 꿀팁! 20년도에는 평균 6개가 나왔으며 합격율이 낮았다. 21년도에는 평균 4개가 나왔으며 합격율이 올라갔다. 그럼 22년도에는 ? 내 기억상 6개 정도 나온 것으로 기억하며, 수제비 카페 선생님들 파악하기에는 난이도가 많이 상승했다고 했다. 즉, 코딩 문제를 더 빡시게 준비해야할 것이다. 22년도에는...파이팅!
시험본지 한달 정도가 되서 다 까먹었네요... 차라리 궁금한거 생기시면 물어봐주세요... 그때 다시 공부하게...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내가 공부한 방법 공유 (0) | 2022.06.20 |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실기 문제 유형 알아보기! (유형만 알아도 공부양은 줄어든다) (0) | 2022.06.20 |
[정보처리기사] 65점 실기 합격 후기! 및 공부 방법! (0) | 2022.06.18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문제 복원 블로그 (0) | 2022.05.12 |
[정보처리기사] 2022년 1회차 가채점 결과 (0) | 2022.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