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처기 실기

    [정보처리기사] 65점 실기 합격 후기! 및 공부 방법!

    결과!! 후기!! 일단 나는 비전공자가 아니다. 전자공학과에서 공부했으며, 회로 설계를 전공했다. 뭐 사실... 학교에서는 코딩은 1학년때말고는 안배웠는데... 비전공자인지 전공자인지 헷갈린다... 뭐 여튼 ㅎ 나는 학원이나 온라인 강의 등을 통해 코딩 공부를 한 적이 없다. 대부분 코딩 공부는 야매(?)로 공부했다. 예를 들어, 어플을 만들 때에는 JAVA(자바)라는 언어를 사용했는데, 구글링을 통해 필요한 부분만 복사 붙여넣기 및 수정을 해서 어플을 만들면서 공부했다. 즉, 나는 자바에서 어떤 자료형이 있는지, 함수가 뭔지, 생명 싸이클이 어떻게 되는지 1도 모른다.(지금도 모름 ㅋ) 대신에 중요한 걸 배웠다. 코딩은 구글링을 통해 충분히 학습이 가능하며, 이론보다 실기(?)에서 쓰이는 공부가 중요하..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 ( 2 / 3 )

    ● 트랜잭션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기본 단위 ● 트랜잭션 특성 원자성 : 트랜잭션이 실행에 실패하면 일관성 : 트랜잭션 실행 전 후가 같아야함 격리성 : 트랜잭션이 실행 중일 때, 다른 트랜잭션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성질 영속성 : 트랜잭션의 결과는 영속적으로 저장되어야 하는 성질 ● 트랜잭션 제어어 ( TCL ) Commit Rollback Checkpoint ● 데이터정의어 ( DDL ) 대상 도메인 : 하나의 속성이 가질 수 있는 원자값들의 집합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내부스키마 개념스키마 외부스키마 테이블 : 데이터 저장 공간 뷰 : 하나 이상의 물리 테이블에서 유도되는 가상의 테이블 인덱스 순서 인덱스 : 데이터가 정렬된 순서로 생성되는 인덱스 해시 인덱스..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 ( 1 / 3 )

    본 자료는 제가 보기 위해 만든 것입니다. 제가 헷갈리는 부분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1. 요구사항 확인 chapter01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SDLC) 시스템의 요구분석부터 유지보수까지 전 공정을 쳬계화한 절차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모델 프로세스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유지보수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모델 종류 폭포수 모델 가장 오래된 모델로, 각 단계를 확실히 마무리 지은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감 절차 : 타당성 검토 -> 계획 ->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유지보수 프로토타이핑 모델 나선형 모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시스템 개발 절차 : 계획 및 정의 -> 위험 분석 -> 개발 -> 고객 평가 반복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