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앱인벤터 얀덱스 번역을 이용한 나만의 번역기 만들기를 만들어 볼겁니다.
실제로 블록코딩으로 제작된 번역기 어플을 플레이스토어에 등록하여 50만 다운로드를 받은 케이스도 있어요. (물론, 내가 만든건 아님)
여러분들도 번역기를 만들어서 한번 등록해보세요😀😁
사용영상
디자인
디자인 부분에서 속성 값을 반드시 변경해줘야 할 부분은 따로 없어요.
본인 취향에 맞게 꾸미시면 되요.
대신, 확장기능이 추가되어 있어요. 확장기능에 대해 알아봅시다.
확장 기능이란
확장 기능은 앱인벤터에서 만들어 놓은 블록이 아닌, 일반 개발자나 유저가 만들어 놓은 블록입니다.
예를 들어, 사물인식, 얼굴인식, 핸드폰 플래시 on/off 등 다양한 확장기능이 있어요.
우리가 사용할 확장기능은 "Clipboard Extension"입니다.
왜 사용하냐?
디자인 부분 보시면 버튼중에 복사하기 버튼이 있어요. 결과 텍스트를 클립보드에 복사하기 위한 버튼이죠. 이 과정에서 Clipboard Extension이 필요한 것입니다. (굳이 확장 기능을 안넣으셔도 됩니다. 대신 복사하기 버튼은 삭제해주세요)
확장 기능 사용 방법
- 주어진 링크로 접속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 앱인벤터로 돌아와서 다운로드한 파일을 업로드한다
- 업로드된 파일을 추가한다
1. 주어진 링크로 접속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https://puravidaapps.com/clipboard.php
App Inventor Extensions: Clipboard Manager | Pura Vida Apps
See the App Inventor Extensions document about how to use an App Inventor Extension. For questions about this extension or bug reports please start a new thread in the App Inventor community. Thank you. For feature requests please contact me by email. To b
puravidaapps.com
2. 앱인벤터로 돌아와 다운로드한 파일을 업로드한다
3. 업로드한 파일을 추가한다
TaifunClipboard는 보이지 않는 컴포넌트임으로 드래그하여 음성변환처럼 아무데나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블록 코딩
대부분의 블록은 쉬워서 조금만 공부하시면 금방 이해하실수 있으실거라 믿어요ㅎㅎ
딕셔너리(dictionary)에 대해 설명을 해드릴려 합니다. 딕셔너리 부분은 전부 영어로 되어있죠ㅎㅎ
그나마 최근에 나온 블록이라 번역이 안되어 있는거 같습니다.
딕셔너리란?
연관 배열은 자료구조의 하나로, 키 하나와 값 하나가 연관되어 있으며 키를 통해 연관되는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얀덱스 번역을 사용할려면 언어코드를 지정해야 합니다. 한국은 ko, 영어는 en, 중국어는 zh 이런식이죠.
여기서 딕셔너리를 사용하여 편하게 언어코드를 찾을 수 있죠. 딕셔너리를 안쓰고 리스트를 사용할려고 하면 블록이 더 복잡해지는 걸 경험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원래는 리스트로 만들었다가 딕셔너리로 바꿈)
한국어라는 키를 ko라는 값으로 연결을 시켜두고, 한국어를 클릭하면 ko라는 언어코드가 나오게 됩니다.
얀덱스 번역에서 번역언어코드에는 양식이 있어요. ( 번역하기 전 언어코드-번역를 원하는 언어코드)
예를 들어, ko-en 이렇습니다. 해석하면 한국어를 영어로 번역하고 싶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약, 중국어를 한국어로 바꾸고 싶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바로, zh-ko 이렇게 되죠.
그럼 언어코드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아래 링크로 들어가셔서 원하시는 나라를 찾으신 후, "ISO 639-1" 부분에 있는 2자리로된 언어코드를 찾으시면 됩니다. 가끔 얀덱스번역이 지원하지 않는 언어코드도 존재하니까 알아두시면 좋아요(키냐르완다어 이런거 하면 안될걸요?)
https://ko.wikipedia.org/wiki/ISO_639-1_%EC%BD%94%EB%93%9C_%EB%AA%A9%EB%A1%9D
ISO 639-1 코드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SO 639는 언어 분류를 위해 사용되는 표준화된 명명법이다. 각 언어는 2글자(639-1) 및 3글자(639-2, 639-3)로 할당된다. 어족 ISO 언어 이름 네이티브 이름 639-1 639-2/T 639-2/B 639-3 Northwest Caucasian Abkhazian а
ko.wikipedia.org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or 메일을 보내주세요
'앱인벤터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인벤터 강좌] 내 위치 지도에 띄우기 및 자동 운동 경로 만들기 (0) | 2022.04.18 |
---|---|
[앱인벤터 강좌] 내 위치 자동 기록 어플 만들기 (0) | 2022.04.13 |
[앱인벤터] 앱인벤터 만들어 놓은 어플 리스트 (0) | 2022.04.04 |
[앱인벤터 강좌] 그림판 어플 만들기 (0) | 2022.03.28 |
[앱인벤터 강좌] 만보기 만들기 (0) | 2022.03.28 |